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GraalVM Native 이미지로 빌드한 후 실행할 때, 파일 생성(file creation) 시 에러가 발생하는 것은 꽤 일반적인 문제입니다. Native 이미지 환경에서는 리플렉션, 파일 시스템 접근, 동적 프록시, 리소스 처리 등이 제한되거나 명시적으로 등록되어야 합니다.💥 에러 발생 원인GraalVM Native 이미지 빌드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을 컴파일 타임에 분석해서 최적화된 바이너리를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동적으로 생성되거나 접근되는 파일/리소스가 제대로 등록되지 않으면 런타임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1. ❌ 파일 시스템 쓰기 경로 제한Native 이미지 실행 환경에서는 파일 시스템 쓰기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해..
✅ AOT란? (Ahead-Of-Time Compilation)AOT 컴파일은 말 그대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전에, 코드를 미리 컴파일해서 최적화된 기계어 바이너리를 만들어두는 방식입니다.📌 즉, 실행 전에:클래스 로딩빈 등록리플렉션 분석리소스 탐색이런 작업을 미리 수행해서 Native 실행에 적합하도록 정리해 놓는 거예요.🤔 왜 AOT가 중요할까? (특히 GraalVM Native에서)GraalVM의 Native 이미지 기능은 Java 애플리케이션을 C처럼 단일 실행 파일로 컴파일합니다.이 과정에서는 리플렉션, 프록시, 리소스 로딩 등 동적 기능이 안 보이면 포함되지 않아요.그래서 Spring Boot 같은 프레임워크는 미리 정적인 분석을 통해 필요한 것들을 Native에 반영해야 해요.이게 바로 A..
✅ Spring Boot + GraalVM Native 빌드 최적화 설정 총정리🔧 1. Gradle 설정 (build.gradle 또는 build.gradle.kts)📌 필수 플러그인plugins { id("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2" id("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3" id("org.graalvm.buildtools.native") version "0.9.28"}📌 GraalVM 빌드 설정graalvmNative { binaries { named("main") { imageName.set("my-native-app") ..
Spring Boot 2.x와 3.x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Spring Security 설정 방식의 변화입니다. 특히 WebSecurityConfigurerAdapter의 제거로 인해 기존 방식으로 Security를 설정하던 코드들이 3.x에서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 Spring Boot 2.x (Spring Security 5.x 기준)주요 특징WebSecurityConfigurerAdapter를 상속하여 보안 설정configure(HttpSecurity http)와 configure(AuthenticationManagerBuilder auth)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설정예시 코드@Configuration@EnableWebSecuritypublic class SecurityCo..
Spring Boot 3.x로 넘어오면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바로 javax.* → jakarta.* 패키지 변경입니다. 이건 단순한 이름 변경이 아니라, 마이그레이션 시 컴파일 에러와 런타임 이슈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배경 설명: 왜 javax에서 jakarta로 바뀌었을까?javax.*는 원래 Oracle이 소유한 Java EE 패키지 네임스페이스입니다.Java EE는 후에 Eclipse 재단으로 이관되었고, 이름도 Jakarta EE로 바뀌었습니다.하지만 Oracle이 javax 네임스페이스를 계속 소유하고 있어서, Eclipse 재단은 새로운 이름 jakarta를 사용해야만 했습니다.그래서 Spring Framework 6 & Spring Boot 3부터는 모든 관련 ..
gradle.properties 파일은 Gradle 빌드 시스템의 전역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통해 빌드 성능, 메모리 할당, 병렬 실행 여부 등 다양한 빌드 관련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빌드 캐시 활성화org.gradle.caching=true# 병렬 빌드 활성화로 성능 향상org.gradle.parallel=true# 데몬 모드 활성화org.gradle.daemon=true# 메모리 설정org.gradle.jvmargs=-Xmx2048m -XX:MaxPermSize=512m -XX:+HeapDumpOnOutOfMemoryError각 설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org.gradle.caching=true: 빌드 캐시를 활성화합니다. 이전 빌드의 결과물을 캐시하여 다음 빌드에서 ..
🧱 1. build.gradle (Groovy DSL, Java 기반)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3' id 'org.graalvm.buildtools.native' version '0.9.28'}group = 'com.example'version = '0.0.1-SNAPSHOT'sourceCompatibility = '17'repositories { mavenCentral()}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
GraalVM Native 이미지를 빌드하고 Docker로 패키징하는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툴이나 프레임워크는 몇 가지가 있으며, 특히 Spring Boot + GraalVM Native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도구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Spring Boot Native 지원 (Gradle Plugin)Spring Boot 3.x부터 GraalVM Native 빌드를 공식 지원합니다.자동화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입니다.✅ 특징nativeCompile 명령으로 쉽게 빌드 가능GraalVM 설정 자동 구성Dockerfile도 자동 생성 가능 (via Buildpacks)🔧 설정 예시 (build.gradle.kts)plugins { id("org.springframework.boot") ..
🚀 1. Image 컴포넌트로 이미지 최적화하기Next.js는 내장된 이미지 최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적용 방법import Image from 'next/image'export default function Home() { return ( )}⚙️ 주요 기능자동 최적화: 이미지 압축 및 리사이징(WebP, AVIF 등 지원)Lazy-loading: 화면 진입 시점에 맞춰 로딩 (기본 설정)CDN 캐싱 활용: Production 환경에서 자동 CDN 연동 가능🚀 2. 폰트(Font) 최적화Next.js 13+ 부터 내장된 폰트 최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적용 방법import { Inter } from 'next/font/google'const inter = Inter(..
Lazy Initialization(지연 초기화)은 실제로 필요한 시점까지 객체의 생성이나 리소스 할당을 지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과 리소스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Lazy Initialization이 유용한 경우애플리케이션 시작 시간을 줄이고 싶을 때자주 사용하지 않는 무거운 객체를 초기 로딩에서 제외하여 리소스를 절약하고 싶을 때메모리나 CPU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싶을 때✅ 스프링부트에서 Lazy Initialization을 적용하는 방법스프링부트는 기본적으로 Bean을 즉시 초기화(Eager Initialization)합니다. 하지만 특정 Bean을 사용할 때까지 생성을 지연(Lazy Initialization)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