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gradle.properties 파일은 Gradle 빌드 시스템의 전역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통해 빌드 성능, 메모리 할당, 병렬 실행 여부 등 다양한 빌드 관련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빌드 캐시 활성화
org.gradle.caching=true
# 병렬 빌드 활성화로 성능 향상
org.gradle.parallel=true
# 데몬 모드 활성화
org.gradle.daemon=true
# 메모리 설정
org.gradle.jvmargs=-Xmx2048m -XX:MaxPermSize=512m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각 설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org.gradle.caching=true: 빌드 캐시를 활성화합니다. 이전 빌드의 결과물을 캐시하여 다음 빌드에서 변경되지 않은 부분은 다시 빌드하지 않도록 합니다.
- org.gradle.parallel=true: 여러 작업을 병렬로 실행하여 빌드 속도를 높입니다.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 org.gradle.daemon=true: Gradle 데몬을 활성화하여 빌드 간 JVM 시작 시간을 줄입니다. 반복적인 빌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org.gradle.jvmargs: Gradle이 실행되는 JVM에 추가 메모리를 할당하고 기타 JVM 옵션을 설정합니다.
- -Xmx2048m: 최대 힙 메모리를 2GB로 설정
- -XX:MaxPermSize=512m: 영구 세대 메모리 크기 설정 (Java 8 이상에서는 무시됨)
-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메모리 부족 오류 발생 시 힙 덤프 생성
이 설정들은 큰 프로젝트나 복잡한 빌드 프로세스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네이티브 이미지 컴파일과 같은 리소스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도움이 됩니다.
gradle.properties 파일은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해야 하며, 이 파일에 설정된 속성은 모든 빌드에 적용됩니다.
728x90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2.x -> Spring Boot 3.x] 마이그레이션 Spring Security 설정 방식 (0) | 2025.03.22 |
---|---|
[Spring Boot 2.x -> Spring Boot 3.x] 마이그레이션 javax.* → jakarta.* 패키지 변경 (0) | 2025.03.22 |
Spring Boot + GraalVM Native + Docker 예시 (1) | 2025.03.21 |
GraalVM Native 이미지를 빌드 자동화툴 및 프레임워크 (0) | 2025.03.21 |
Next.js 리소스를 최적화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