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서비스가 실제로 ‘동작’하고 ‘유지보수’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되도록, 기술 구조와 개발 로드맵을 설계하는 일
1️⃣ 개발기획의 정의와 역할
🔍 정의
개발기획(Development Planning)은
기획된 서비스 요구사항(요구기능, 정책 등)을 바탕으로
실제 구현 가능한 기술 아키텍처, 개발 범위, 일정, 리소스를 설계하고
개발팀과 협력하여 기능 구현과 품질 확보를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 기획 활동입니다.
즉,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로 전환하는 브릿지 역할입니다.
🎯 주요 역할 (Key Roles)
영역 | 세부내용 |
📦 요구사항 기술화 | 서비스 기능 명세를 기반으로 개발단에서 필요한 요구사항 도출 (API, DB, 인프라 등) |
🧱 시스템 설계 | 기술 스택 선정,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DB 모델링, 인터페이스 정의 |
📅 개발 일정 수립 | 개발 범위 정의, 마일스톤 계획, 인력 배치, 우선순위 및 개발 순서 정의 |
🛠 기술 검증 및 POC | 신기술 적용 시 PoC 수행, 위험도 분석, 기술 대안 마련 |
🧪 테스트 및 품질 관리 | QA 계획, 테스트 케이스 정의, 배포 전략 수립 (Canary, Blue-Green 등) |
🔄 유지보수 고려 설계 | 모듈화, 버전 관리, 로깅, 모니터링, 장애 대응 정책 포함 |
2️⃣ 개발기획의 핵심 단계 (Process)
1. 기획 기능 분석
- 기능정의서 / 정책서 기반으로 세부 개발 항목 도출
- 기능 단위로 REST API, 비즈니스 로직, DB 액세스 모델 정의
2. 기술 스택 및 아키텍처 결정
- Frontend, Backend, Database, Messaging, Infra 등 전체 기술 스택 조합 결정
- 모놀리식 vs MSA, 서버리스 구조 여부, API Gateway 적용 등 검토
🔧 예: NestJS + MongoDB + Redis + Kafka + ArgoCD + GitLab + K8s
3. 시스템 구조도 작성
- 계층 구조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 DB ERD, API 명세서, 데이터 흐름도, 서비스 다이어그램(Mermaid 등)
4. 개발 일정 수립 및 우선순위 조정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기반 태스크 분해
- 각 기능별 난이도, 리소스 산정, 개발 기간 추정
- 개발 순서: 핵심 기능 → 주변 기능 → 백오피스 등 단계적 구성
5. PoC 및 기술 리스크 대응
- PoC 진행 (ex. AI OCR 정확도, 대용량 처리 가능 여부 등)
- 성능 이슈 사전 파악 (RPS, TPS, 메모리 사용량, 병목 구간 테스트)
6. 품질 확보 전략
-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계획 수립
- CI/CD 파이프라인 설계 (GitLab CI, Jenkins, ArgoCD 등)
- 릴리즈 전략, 롤백 플랜 포함
7. 운영 및 유지보수 고려
- 모니터링 도구 연동 (Prometheus, Grafana, Sentry, ELK 등)
- 장애 대응 매뉴얼, 로그 체계, 버전 정책 수립
3️⃣ 개발기획과 비즈니스의 연관성
개발기획은 단순히 개발팀의 업무 설계가 아니라,
서비스가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기술적 기반을 책임지는 역할입니다.
📈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항목 | 설명 |
⏱ Time-to-Market | 개발 효율을 통해 빠른 서비스 출시 가능 |
💸 비용 최적화 | 불필요한 기술 낭비 최소화, 개발 리소스 절감 |
🔁 확장성 | 추후 비즈니스 요구에 맞춘 확장 용이성 확보 |
🛡 안정성 | 장애 최소화로 사용자 경험 및 신뢰도 확보 |
🔐 보안 | 인증, 인가, 데이터 보호 체계 구축으로 법적·윤리적 이슈 대응 |
4️⃣ 개발기획자의 주요 역량
역량 분야 | 상세 설명 |
🧠 시스템 설계 역량 | RESTful 구조 이해, MSA 설계 경험, DB 모델링 능력 |
⚙ 기술 트렌드 이해 | 최신 프레임워크, 클라우드 기술, DevOps 툴 이해 |
📊 프로젝트 관리 | 일정 산정, 인력 관리, 애자일/스크럼 적용 |
🧩 문서화 능력 |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API 스펙, ERD,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 문제 해결 능력 | 장애 대응 시나리오 설계, 성능 튜닝, 트러블슈팅 능력 |
🤝 커뮤니케이션 | 기획자, 디자이너, PO/PM, 개발자 간의 원활한 조율 |
🧭 요약
항목 | 설명 |
📌 개발기획이란? | 기획된 서비스가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도록 전체 구현 구조와 일정을 설계하고, 개발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는 과정 |
🎯 목표 | 높은 품질의 기능을 적절한 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구현하여, 안정적이고 유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 |
💼 비즈니스 기여 | 서비스 출시 속도, 운영 안정성, 비용 효율화, 사용자 신뢰도에 직결됨 |
728x90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헤더란? (0) | 2025.04.18 |
---|---|
서비스 기획 vs 개발 기획 비교 (0) | 2025.04.18 |
서비스 기획이란? (0) | 2025.04.18 |
Wireshark에서 패킷 필터링 명령어 (0) | 2025.04.17 |
상황별로 정리한 HTTP 상태 코드 표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