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1xx: 정보 응답 (Informational)

 

상황  상태코드  의미
요청을 받았고 처리 중임 100 Continue
전환 프로토콜 제안 (업그레이드) 101 Switching Protocols

🟢 2xx: 성공 응답 (Success)

 

     
상황  상태코드  의미
요청 성공, 리소스 있음 200 OK
새 리소스 생성됨 (POST/PUT) 201 Created
요청은 성공했으나 응답 본문 없음 204 No Content
클라이언트가 보낸 헤더 조건 충족 206 Partial Content (Range 요청에 사용)

🟡 3xx: 리디렉션 (Redirection)

상황 상태코드 의미

     
    의미
리소스가 임시로 다른 URI에 있음 302 Found (Temporary Redirect)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이동됨 301 Moved Permanently
캐시된 콘텐츠 사용 가능 304 Not Modified

🔴 4xx: 클라이언트 오류 (Client Error)

상황 상태코드 의미

     
    의미
잘못된 요청 (문법 오류, 파라미터 오류 등) 400 Bad Request
인증이 필요함 401 Unauthorized
권한이 없거나 접근 금지됨 403 Forbidden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404 Not Found
허용되지 않은 메서드 사용 405 Method Not Allowed
요청 본문이 너무 큼 413 Payload Too Large
URI가 너무 김 414 URI Too Long
미디어 타입을 처리할 수 없음 415 Unsupported Media Type
클라이언트 요청이 너무 많음 (Rate Limiting) 429 Too Many Requests

🔥 5xx: 서버 오류 (Server Error)

상황 상태코드 의미

     
    의미
서버 내부 오류 (예외 발생 등) 500 Internal Server Error
구현되지 않은 기능 요청 501 Not Implemented
백엔드 서버와 통신 불가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 504 Gateway Timeout
서비스 일시 중지 또는 유지보수 중 503 Service Unavailable

📌 상황별 추천 사용 예시

 

상황  추천  상태코드
로그인 실패 (아이디/비번 틀림) 401
로그인 했지만 접근 권한 없음 403
데이터 저장 성공 (POST) 201
데이터 수정 성공 (PUT/PATCH) 200 또는 204
삭제 성공 (DELETE) 204
잘못된 입력값 (필드 누락 등) 400
요청한 리소스 없음 (ID 잘못됨 등) 404
서버 처리 중 에러 발생 500
너무 많은 요청 (API 제한 초과) 429

 


✅ [요청 처리 성공]

 

상황  상태코드  설명
일반적인 처리 성공 200 OK 가장 흔한 성공 응답
리소스 생성 (POST 등) 201 Created 새 리소스가 생성됨
처리 성공, 응답 본문 없음 204 No Content DELETE 등에서 자주 사용
범위 요청 응답 (파일 일부) 206 Partial Content Range 요청 처리 시 사용

🔐 [인증 및 권한 오류]

 

상황  상태코드  설명
인증 실패 (로그인 필요) 401 Unauthorized 토큰 없음, 만료 등
권한 없음 (인증은 됐지만 거부됨) 403 Forbidden 접근 권한 없음

❌ [클라이언트 요청 오류]

 

상황  상태코드  설명
요청 자체에 문제가 있음 400 Bad Request 유효성 실패, JSON 파싱 오류 등
요청 리소스 없음 404 Not Found ID 잘못됨, URL 오타 등
지원하지 않는 HTTP 메서드 405 Method Not Allowed GET 대신 POST 요청 등
콘텐츠 타입 미지원 415 Unsupported Media Type 예: XML 보낼 때 JSON만 지원 시
요청이 너무 큼 413 Payload Too Large 파일 업로드 초과 등
너무 많은 요청 (속도 제한) 429 Too Many Requests Rate Limit 초과

🔁 [리다이렉션 관련]

 

상황  상태코드  설명
리소스가 새 위치로 이동 301 Moved Permanently 영구 이동
임시 이동 (로그인 후 리다이렉트 등) 302 Found 일시적 이동
클라이언트 캐시 활용 가능 304 Not Modified 조건부 요청 시 사용

🔥 [서버 오류]

 

상황  상태코드  설명
서버 내부 처리 오류 500 Internal Server Error 예상치 못한 서버 오류
구현되지 않은 기능 요청 501 Not Implemented 미지원 기능 호출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오류 502 Bad Gateway 백엔드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 수신
서버가 과부하 또는 점검 중 503 Service Unavailable 일시적 장애 또는 유지보수 중
백엔드 응답 시간 초과 504 Gateway Timeout 프록시, 로드밸런서에서 발생 가능

📦 [RESTful API 기준 추천 매핑 요약]

 

동작  상태코드  설명
GET 200 / 404 정상 또는 미존재
POST 201 / 400 생성 또는 입력 오류
PUT/PATCH 200 / 204 / 400 수정 완료 또는 오류
DELETE 204 / 404 삭제 완료 또는 미존재
인증요구 401 / 403 로그인 필요 또는 접근 불가
서버문제 500~504 예외, 과부하, 연결 실패 등

 

728x90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이란?  (0) 2025.04.18
Wireshark에서 패킷 필터링 명령어  (0) 2025.04.17
1년 이상 혁신  (0) 2025.04.16
Kafka REST API 종류별 비교  (0) 2025.04.16
APISIX Lua 변환 vs Kafka Connect SMT 변환 차이점과 장단점  (0) 2025.04.14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