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항목 | Hook | Triger |
기본 의미 | "어디에 걸어두는 것" | "어떤 조건이 되면 실행시키는 것" |
누가 호출? | 외부 시스템/내부 시스템이 알아서 호출 (콜백 느낌) | 조건 만족되면 시스템이 자동 실행 |
제어 방식 | 수동 또는 외부 이벤트에 반응 | 조건 기반 자동 실행 |
사용 위치 예시 | - 코드 레벨 (ex: 함수 호출 시 beforeSave, afterSave 등)- API Gateway (ex: 요청 가로채기 Hook) | - DB (ex: Insert Trigger, Update Trigger)- Kafka Connect (ex: Connector trigger by poll) |
목적 | 흐름을 "중간에 가로채거나" "덧붙여 실행" | 특정 이벤트 발생시 "자동 반응" |
동작 방식 | "이 타이밍에 이 함수 끼워넣어" 느낌 | "이 조건 생기면 이 작업 수행" 느낌 |
예시 | - Git Hook (pre-commit, post-merge)- Webhook (API 호출 Hook) | - DB Trigger (Insert → 다른 테이블에 복사)- Kafka Topic에 새 메시지 오면 Trigger Consumer |
728x90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SIX Lua 변환 vs Kafka Connect SMT 변환 차이점과 장단점 (0) | 2025.04.14 |
---|---|
OpenFaaS로 MongoDB REST Proxy 통해 MongoDB 조회하는 예시 (1) | 2025.04.14 |
OpenResty란? (0) | 2025.04.12 |
APISIX에서 HTTP 요청 흐름 가로채기 (0) | 2025.04.12 |
Kafka Connect 커스텀 SMT - JSON 데이터 외부 API POST 호출 + MongoDB Sink Connector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