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_CD

GitLab CE (Community Edition)을 설치하는 방법

ipxy 2025. 3. 29. 16:33
728x90

 

🧰 1. 사전 준비

  • 운영체제: Ubuntu 20.04 이상 권장
  • 하드웨어 요구사항 (최소):
    • CPU: 2 core 이상
    • RAM: 4GB 이상
    • 디스크: 20GB 이상
  • 루트 권한 (sudo)

🚀 2. GitLab 설치 (Omnibus 방식)

① 필요한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curl openssh-server ca-certificates tzdata perl

② GitLab 패키지 저장소 추가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deb.sh | sudo bash

③ GitLab 설치 (도메인 설정 포함)

sudo EXTERNAL_URL="http://gitlab.example.com" apt install gitlab-ce

EXTERNAL_URL은 웹에서 접속할 주소입니다. 실제 도메인이나 IP로 바꿔주세요 (예: http://192.168.0.100).

④ GitLab 서비스 초기 설정

sudo gitlab-ctl reconfigure

🌐 3. GitLab 접속 및 초기 로그인

브라우저에서 설정한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gitlab.example.com

🔑 초기 로그인

  • ID: root
  • 비밀번호: 최초 접속 시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됩니다.

🧪 4. 상태 확인 및 기본 명령어

sudo gitlab-ctl status        #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gitlab-ctl restart       # GitLab 재시작
sudo gitlab-ctl stop/start    # 정지/시작

🔐 (옵션) HTTPS 구성

HTTPS를 설정하려면 EXTERNAL_URL을 https://...로 설정하고, 인증서를 아래 경로에 위치시키면 됩니다:

/etc/gitlab/ssl/gitlab.example.com.crt
/etc/gitlab/ssl/gitlab.example.com.key

그 후:

sudo gitlab-ctl reconfigure

🐳 (선택) Docker로 GitLab 설치

원하시면 Docker 기반 설치도 가능합니다:

docker run --detach \
  --hostname gitlab.example.com \
  --publish 443:443 --publish 80:80 --publish 22:22 \
  --name gitlab \
  --restart always \
  --volume $HOME/gitlab/config:/etc/gitlab \
  --volume $HOME/gitlab/logs:/var/log/gitlab \
  --volume $HOME/gitlab/data:/var/opt/gitlab \
  gitlab/gitlab-ce:latest

🧩 추가 구성 팁

  • CI/CD 실행용 GitLab Runner는 별도로 설치해야 합니다. (gitlab-runner 설치 필요)
  • SMTP 설정, LDAP 연동 등은 /etc/gitlab/gitlab.rb 에서 설정 후 gitlab-ctl reconfigur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