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과 VM(VirtualBox, VMware ) 리소스 효율성
ipxy
2025. 3. 29. 14:01
728x90
✅ 요약 비교: WSL vs VM (VirtualBox)
항목 | WSL2 (특히 WSL2 기준) | VirtualBox 등 VM |
성능 | ★★★★★ (거의 네이티브) | ★★★☆☆ (오버헤드 큼) |
리소스 사용 | 메모리/CPU 공유 (유연함) | 할당된 리소스 고정 |
디스크 성능 | 빠름 (특히 WSL2+ext4 VHD) | 상대적으로 느림 |
GUI 지원 | 기본 X11/Wayland는 약함 (하지만 WSLg 있음) | 자유로움 |
시작/종료 속도 | 매우 빠름 | 느림 |
호스트-게스트 통합 | 심리스 (윈도우 ↔ 리눅스 파일 공유 쉬움) | 별도 설정 필요 |
네트워크 구성 | 자동 브리지 or NAT (간단함) | 다양하지만 복잡 |
운영 체제 지원 | 주로 Linux | Linux, BSD, Windows 등 다양 |
컨테이너 지원 | WSL2는 Docker와 직접 통합됨 | VM 위에 Docker 설치 필요 |
🔍 리소스 관점에서의 효율성
✅ WSL2
- 동적 메모리 사용: 필요한 만큼만 메모리 차지, 쓰지 않으면 줄어듬
- CPU 공유: 모든 CPU 사용 가능 (호스트와 공유)
- 디스크 I/O: Linux-native VHD 디스크 기반, 윈도우 경로보다 빠름 (/home 등)
- GPU, USB 디바이스 지원: 제한적이지만 향상됨 (특히 WSLg + CUDA 가능)
➡ 테스트 서버, 로컬 개발, 빌드 환경 등에서 가장 리소스 효율적
❌ VirtualBox/VMware
- 메모리/CPU 고정 할당: 예: 4GB 지정하면 항상 점유
- 오버헤드 존재: 가상 하드웨어 위에서 OS 전체가 돌아가므로 CPU 부담 큼
- 디스크 성능: 가상 디스크 접근이 상대적으로 느림
- 리눅스 전용 기능: WSL보다 낮은 통합성 (특히 윈도우와 파일 공유 불편)
➡ 완전한 리눅스 환경 (init부터 시스템 전체)이 필요한 경우만 고려
✅ 어떤 걸 추천하나요?
☑️ 일반적인 개발, 테스트, K3s, Docker, CI/CD 테스트:
무조건 WSL2 추천
- 로컬 리눅스 클러스터 (예: K3s, kind, minikube)
- Docker, Node.js, Python, Gradle 빌드 등
- VSCode, 터미널, Git 통합이 매우 자연스러움
☑️ 전체 시스템 레벨 리눅스 실습, 커널 컴파일, 커널 패닉 테스트:
VM 또는 진짜 리눅스 필요
🧠 결론
상황 | 추천 |
일반 개발, 빌드, 테스트 | ✅ WSL2 |
리눅스 전체 시스템 실습, 다양한 OS 실험 | 🟡 VM |
리소스가 적은 노트북에서 효율적 사용 | ✅ WSL2 |
GPU, USB 등 하드웨어 직접 제어 | 🟡 VM (혹은 듀얼부팅)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