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자바 WebClient VS FeignClient 비교

ipxy 2025. 3. 20. 09:11
728x90

Java에서 WebClientFeignClient는 모두 REST API 호출을 위한 HTTP 클라이언트이지만, 설계 철학, 특징,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클라이언트를 자세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 및 목적

 

구분  WebClient  FeignClient
정의 스프링의 리액티브(Non-blocking) HTTP 클라이언트 선언형(Declarative) REST 클라이언트
지원 방식 Reactive 방식 Blocking 방식 (기본적으로 동기 호출)
사용 목적 비동기/논블로킹 HTTP 통신 간편한 선언형 HTTP 클라이언트 작성

2. 프로그래밍 방식

✅ WebClient (Reactive, Functional)

  • 함수형 스타일의 API 제공
  • 리액티브 스트림(Reactive Stream)을 기반으로 비동기 요청 처리
  • Reactor 기반(Mono, Flux 사용)

예시 코드

WebClient webClient = WebClient.builder()
    .baseUrl("https://api.example.com")
    .defaul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build();

Mono userMono = webClient.get()
    .uri("/users/{id}", 123)
    .retrieve()
    .bodyToMono(User.class);

✅ FeignClient (Declarative)

  • 인터페이스 기반의 선언형 REST 클라이언트 제공
  • 내부적으로는 블로킹 HTTP 클라이언트를 사용 (기본적으로 Apache HttpClient나 OkHttp 사용 가능)

예시 코드

@FeignClient(name = "userClient", url = "https://api.example.com")
public interface UserClient {

    @GetMapping("/users/{id}")
    User getUser(@PathVariable("id") Long id);
}

3. 특징 비교

특징  WebClient  FeignClient
방식 Functional + Reactive Declarative (Annotation 기반)
Blocking vs Non-blocking Non-blocking, Reactive 기본 Blocking (비동기 옵션 가능)
기반 기술 Spring WebFlux (Reactor 기반) Spring Cloud OpenFeign
부가 기능 Backpressure, 고성능 비동기 처리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코드량 감소, 간결성
구현 복잡도 중간~높음 낮음 (쉽고 빠름)
학습 곡선 다소 높음 (리액티브 이해 필요) 매우 낮음 (빠른 학습 가능)
Error Handling 다양한 Operator를 이용한 유연한 처리 가능 Exception 기반 간편한 에러처리

4. 성능 비교

  • WebClient
    • Non-blocking 방식으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보장합니다.
    • 지연(Latency)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하며, 대규모 요청 처리에 유리합니다.
  • FeignClient
    • 동기(Blocked) 방식이 기본이므로 요청이 많아질수록 쓰레드 수 증가로 성능 저하 위험이 있습니다.
    • 요청 빈도가 적고 성능보다는 개발 생산성 및 간편성이 중요한 경우 적합합니다.

5. 사용 시나리오 (권장사항)

  • WebClient
    • 대규모 트래픽 처리 및 높은 성능 요구사항이 있는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모델(Spring WebFlux)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 비동기 방식이 필수인 환경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 FeignClient
    • 비교적 단순한 내부 API 호출을 주로 수행할 때 (예: MSA 환경의 서비스 간 내부 호출)
    • 빠른 개발 생산성, 직관적이고 간단한 코드가 중요할 때
    • REST 클라이언트를 빠르게 작성하여 관리할 때

6. 최종 선택 가이드라인

조건  추천 클라이언트
리액티브 환경을 사용하고 성능 중요시 ✅ WebClient
높은 처리량, 비동기 요청 필수 ✅ WebClient
개발 속도 및 간편성, 빠른 학습 중요 ✅ FeignClient
복잡성 감소 및 간단한 인터페이스 유지 필요 ✅ FeignClient
기존 블로킹 환경과의 호환성 유지 필요 ✅ FeignClient

 


✅ 리소스 사용량 관점에서 비교

 

리소스 항목 WebClient (Non-blocking)   FeignClient (Blocking)  설명
Thread 개수 🔵 적음 (적은 수의 쓰레드로 처리 가능) 🔴 많음 (동시에 많은 요청 처리 시 쓰레드 수 급증 가능) WebClient는 쓰레드를 적게 사용하면서 동시 요청 처리 능력이 뛰어나 효율적
메모리 사용량 🔵 효율적 (리액티브 스트림으로 메모리 관리 최적화) 🟠 보통 (단순 호출 시는 유사하나, 다량 호출 시 쓰레드와 자원 소모 증가) 다량 호출 시 WebClient가 더 효율적
Connection 풀 관리 🟢 유연하고 효율적 (Connection 재사용이 우수) 🟡 일반적인 Connection pool 사용 (Apache HttpClient, OkHttp 등) WebClient가 더 최적화된 Connection 관리 가능
CPU 자원 🟢 효율적 (적은 리소스로 비동기 처리) 🟡 보통 (Context Switching 증가로 CPU 부담 증가 가능) WebClient가 CPU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 리소스 소모가 많은 부분: FeignClient

FeignClient는 기본적으로 Blocking 방식이므로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요청이 늘어날수록 쓰레드 풀(thread pool)을 키워야 합니다.

  • 다량의 요청이 동시에 오면 각 요청이 처리 완료될 때까지 쓰레드를 점유 → 쓰레드 개수 급증
  • 쓰레드 개수 증가로 인해 OS 레벨에서 Context Switching이 빈번해져 CPU 및 메모리 사용량 증가

따라서, 대규모 트래픽 및 많은 동시 요청 처리를 할 경우 FeignClient가 리소스를 더 많이 소모하게 됩니다.


🎯 WebClient가 리소스 소모가 더 적은 이유

WebClient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Non-blocking)**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적은 수의 쓰레드로도 수백~수천 개의 요청을 병렬로 처리 가능
  • 비동기 I/O 처리로 쓰레드가 Blocking 되지 않음
  • 적은 쓰레드로도 많은 요청을 처리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 Connection pool 재사용 효율성 높음 → 리소스 관리 최적화

📌 요약 및 추천

요구 사항 적합한 클라이언트
리소스 효율성, 동시 처리 중요 WebClient
개발 편의성, 소량 요청 처리, 간단한 관리 FeignClient

따라서, 리소스 측면에서 효율적 사용이 중요하면 WebClient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결론 🎯

  • 성능 중심, 리액티브 방식이 필요하면 → WebClient 선택
  • 편리하고 빠른 개발 및 유지보수 용이성이 중요하면 → FeignClient 선택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본인의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게 적절한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활용하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