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K3s 명령어 정리

ipxy 2025. 3. 20. 07:55
728x90

 

📌 1. k3s 설치/삭제

✅ 설치 (기본)

curl -sfL https://get.k3s.io | sh -

✅ 설치 (옵션 지정 예: Traefik 제거)

curl -sfL https://get.k3s.io | INSTALL_K3S_EXEC="--disable traefik" sh -

✅ 삭제

/usr/local/bin/k3s-uninstall.sh

📌 2. k3s 명령어 기본

✅ 클러스터 정보 확인

k3s kubectl cluster-info

✅ 노드 목록 확인

k3s kubectl get nodes

✅ 파드, 서비스, 디플로이 등 조회

k3s kubectl get pods -A
k3s kubectl get svc -n kube-system

k3s kubectl은 일반 kubectl과 동일한 명령어 구조를 가집니다.


📌 3. k3s systemd 서비스 관리

✅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k3s

✅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k3s

✅ 로그 보기

journalctl -u k3s -f

📌 4. kubeconfig 경로

export KUBECONFIG=/etc/rancher/k3s/k3s.yaml

로컬 kubectl에서도 k3s를 제어하려면 이 경로를 환경변수로 등록해야 합니다.


📌 5. HelmChart 관련 명령어

✅ HelmChart CRD 확인

k3s kubectl get helmchart -A

✅ HelmChart 설치 상태 보기

k3s kubectl describe helmchart my-nginx -n kube-system

📌 6. /var/lib/rancher/k3s/server/manifests/ 경로 활용

이 경로는 Static Manifests 디렉토리로:

  • YAML 파일을 여기에 넣으면 자동 배포됨
  • HelmChart도 이곳에 배치 가능

✅ 예시: Nginx 설치

sudo vi /var/lib/rancher/k3s/server/manifests/my-nginx.yaml
# → HelmChart CR 작성 후 저장하면 자동 설치됨

📌 7. k3s 클러스터 관리

✅ 클러스터 토큰 확인

sudo cat /var/lib/rancher/k3s/server/node-token

✅ 마스터 IP 확인

hostname -I

✅ 워커 노드 조인

curl -sfL https://get.k3s.io | K3S_URL=https://:6443 K3S_TOKEN= sh -

📌 8. k3s 버전 확인

k3s --version

✅ 요약 명령어 모음

 

기능  명령어
설치 `curl -sfL https://get.k3s.io
삭제 /usr/local/bin/k3s-uninstall.sh
클러스터 정보 k3s kubectl cluster-info
파드 보기 k3s kubectl get pods -A
노드 보기 k3s kubectl get nodes
시스템 로그 journalctl -u k3s -f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k3s
HelmChart 확인 k3s kubectl get helmchart -A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