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서비스 기획 vs 개발 기획 비교
ipxy
2025. 4. 18. 08:45
728x90
구분 | 🧠 서비스 기획 | ⚙️ 개발 기획 |
🎯 목적 |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가치 있는 서비스를 기획하며 비즈니스 모델까지 설계 | 기획된 서비스를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만들고, 안정적이고 유지보수 가능한 구조를 설계 |
🧭 관점 | 사용자 중심 (UX, 서비스 흐름, 사용자 가치, 비즈니스 효과) | 기술 중심 (시스템 구조, 성능, 보안, 개발 생산성, 유지보수성) |
🔎 주요 질문 |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서비스가 매출로 이어질까?" | "이 기능은 어떻게 구현할까?",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 핵심 산출물 | - 서비스 기획서 - 기능 정의서 - 정책 문서 - 사용자 시나리오 - 와이어프레임 - 수익모델(BM) - KPI 지표 |
- 시스템 아키텍처 - 기술 명세서 (API, DB ERD) - WBS / 개발 일정표 - 인프라 구성도 - 테스트/배포 전략 - 기술 스택 선택 보고서 |
👥 관계하는 부서 | PM, 마케팅, 디자인, 운영, 경영진 | 개발팀, DevOps, QA, 보안팀 |
🧠 중점 역량 | UX 설계, 사용자 분석, 시장 이해,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사고력 | 시스템 설계, 기술 트렌드 이해, 문제 해결력, 프로젝트 일정 관리 |
📈 성과 지표 | - 서비스 지표 (DAU, Retention, 전환률, 매출 등) - 사용자 만족도 - BM 실현 가능성 |
- 개발 일정 준수율 - 장애율/버그율 - 시스템 성능 (RPS, TPS) - 배포 자동화, 기술부채 관리 |
🪙 비즈니스 연계 | 서비스의 돈이 되는 구조(BM)를 설계 | 설계한 BM이 시스템상 구현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안정적 운영 기반 제공 |
🏁 최종 책임 | "무엇을 만들까?"에 대한 정의와 방향성 결정 | "어떻게 만들까?"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 및 기술적 품질 보장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