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서비스 기획이란?

ipxy 2025. 4. 18. 08:38
728x90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비즈니스적으로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설계하는 일”


1️⃣ 서비스 기획의 정의와 역할

🔍 정의

서비스 기획(Service Planning)이란,
사용자의 니즈(Need)와 페인포인트(Pain Point)를 분석하여,
이를 해결하는 서비스 컨셉과 기능을 구조화하고,
시장성, 수익성, 기술 구현 가능성을 종합 고려하여
제품/서비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설계하는 활동입니다.


🎯 주요 역할 (Key Roles)

영역  세부 역할
🧠 고객 중심 사고 고객 페르소나 정의, 사용 시나리오 설계, 고객 여정 지도(Journey Map) 작성
💡 기획 설계 및 구체화 유스케이스(Use Case), 기능 정의서, 정책 설계, 와이어프레임, 화면 플로우
💬 커뮤니케이션 & 조율 개발/디자인/마케팅/운영 팀과 협업,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 우선순위 정의
📈 비즈니스 전략 설계 수익모델(BM) 설계, KPI 설정, 트래픽 및 수익 추정, AARRR 모델 등
🔄 지속적 개선(Iteration) 데이터 분석, 사용자 피드백 반영, 기능 개선 및 버전 업데이트 기획

2️⃣ 서비스 기획의 주요 단계 (Process)

1. 시장 및 사용자 조사

  • 정량 분석: 시장 크기(TAM, SAM, SOM), 경쟁사 트래픽, 앱 순위, 사용자 유입경로
  • 정성 분석: 인터뷰, 설문조사, VOC(Voice of Customer), SNS 분석
  • 결과물: 페르소나,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 JTBD 정리

2. 서비스 컨셉 및 핵심 가치 도출

  • UVP (Unique Value Proposition) 정의
  • 서비스 컨셉 보드, 핵심 기능 도출, 차별화 전략 도출

3. 기능 및 정책 설계

  • 기능 정의서 (Feature Spec)
  • 유저 플로우(User Flow), 와이어프레임, IA(Information Architecture)
  • 서비스 운영 정책 정의 (예: 신고 기준, 권한 체계, 운영 룰)

4. 비즈니스 모델(BM) 설계

  • BM Canvas / Lean Canvas 작성
  • 수익모델 정의 (광고, 수수료, 구독, 프리미엄 등)
  • LTV, CAC, Retention, Conversion Rate 분석 기반 계획 수립

5. KPI 및 성과 지표 설정

  • AARRR (Acquisition → Activation → Retention → Referral → Revenue)
  • 목표 매출, UV, DAU/WAU, 이탈률 등 핵심 지표 정의
  • 트래킹 도구 연동(GA, Mixpanel, Amplitude 등)

6. 로드맵 수립 및 릴리즈 관리

  • 릴리즈 계획 수립 (MVP, V1, V2...)
  • 우선순위 도출 (MoSCoW, RICE, ICE 모델 활용)
  • 개발 일정 산정 및 QA 체크리스트 작성

3️⃣ 서비스 기획과 돈(비즈니스)의 관계

서비스 기획은 단순히 ‘무엇을 만들까’에서 끝나지 않고,
‘어떻게 비즈니스적으로 작동할까’까지 책임지는 구조
입니다.

💵 수익모델 유형과 적용

모델 유형 설명 예시
🪙 광고 기반 (Ad-based) 트래픽 기반 광고 수익 유튜브, 네이버
📦 구독 기반 (Subscription) 주기적 요금 납부 넷플릭스, 왓챠
🛒 건당 과금 (Pay-per-use) 사용 시 마다 과금 쿠팡이츠, 배달의민족
🧲 Freemium 기본은 무료 + 유료 기능 슬랙, 드롭박스
💼 수수료 기반 거래 중개 후 수익 당근마켓, 에어비앤비

📊 수익성 분석 관점

항목  설명
LTV (Life Time Value) 한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발생시키는 총 수익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1명 유치하는 데 드는 비용
ROI (Return on Investment) 기획/개발/운영 대비 수익률
MAU/DAU 활성 사용자 지표 (Retention과 밀접)
Conversion Funnel "방문 → 회원가입 → 첫 결제"까지 단계별 전환 분석

4️⃣ 서비스 기획자의 필요 역량

역량 영역 필요 스킬
✍ 기획력 정보구조 설계, 기능정의서 작성, 정책 수립
📊 비즈니스 사고력 BM 설계, KPI 도출, 수익성 분석
🧠 UX 관점 사고 사용자 중심 설계, 페르소나, 여정 맵 작성
🧑‍💻 기술 이해도 API 구조 이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이해, DB 구조 기본 지식
🤝 커뮤니케이션 개발/디자인/운영 간 요구 조율, 문서화 능력
📈 데이터 기반 사고 GA, SQL, Amplitude 등 도구 기반 개선안 도출

🧭 결론

서비스 기획은 단순히 '기능을 설계하는 일'이 아니라,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돈이 흐르도록 만드는 일”입니다.

즉,
✔ 사용자 관점의 만족
✔ 비즈니스 관점의 수익성
✔ 실행 관점의 기술/운영 가능성
3가지를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역할이 바로 서비스 기획입니다.

 

728x90